(왼쪽) 명주 소재의 청보라 깃이 돋보이는 풀색 생초 삼회장저고리와 분홍색
숙고사 치마와 생초 오합무지기 치마와 버선이 너무 아름답다. (오른쪽) 앵두편
오월 단오 무렵이면 아기 입술처럼 빨갛게 앵두가 익는다. 빛깔 고운 앵두를 끓여 걸러서 설탕과 녹두 녹말을 넣고 조려 굳히면 앵두편이 된다. 말랑말랑한 질감과 새콤달콤한 앵두 맛이 어우러져 봄날의 디저트로 제격이다. 꽃 틀로 찍어 예쁘게 모양을 내서 편이나 채로 썬 밤 위에 올린다.
(왼쪽) 준치만두
얼마나 맛이 좋으면 썩어도 준치라는 말이 생겼을까. 그런 준치가 가장 맛 좋을
때가 바로 단오 즈음이다.
준치만두는 만두라는 이름이 붙어 있긴 하지만 만두피에 소를 넣어 만드는 것이
아니라 일종의 생선완자이다. 유난히 가시가 많은 준치를 쪄서 살만 발라낸 다음 다진 쇠고기와 함께 양념해서 동그랗게 완자로 빚은 뒤 녹말가루를 묻혀 찐다. (오른쪽) 단오그네
단오 전날을 ‘작은 단오’라 부르는데 작은 단오에는 약쑥을 베어놓고 다음 날 뛸
그네를 매단다.
단오에는 남녀노소를 막론하고 고운 옷을 입고 그네를 뛴다.
이날만큼은 여자들도 밖에 나와 그네 뛰는 것이 허용되었는데 며느리가 하루 종일 그네를 뛰며 놀 수 있다 해서 단옷날을 ‘며느리날’이라고도 불렀다.
대지에 충만한 양의 기운을 치마 속으로 받아들이라는 뜻은 아니었을까?...
(왼쪽) 단오빔
단오에 입는 새 옷 단오빔은 ‘단오비음’이라고도 한다. 예로부터 단오를 대 명절의 하나로 여겨 각 가정에서는 단오 차례를 지내고 여러 음식을 장만하고 새 옷을 갈아입고 함께 모여 하루를 즐겼다. (오른쪽) 어채
비린 맛이 없고 살이 단단한 대구 민어 숭어 광어 등을 얇게 저며서 녹말을 입힌 뒤 끓는 물에 살짝 데쳐낸 숙회. 오이 붉은 고추 석이버섯 표고버섯 지단 등과 함께
색스럽게 담아 초고추장이나 초간장에 찍어 먹는 초여름 절식이다.